윈도우 시각효과 제거 - 윈 최적화 방법

2015. 2. 16. 21:34

 

윈도우 최적화 방법 1편 - 윈도우 최적화를 통해 전체적인 성능향상시키기


 안녕하세요. 쥬마입니다.

 

 저도 마찬가지지만 여러분도 오랫동안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버벅대거나 부팅시 윈도우화면에서 오랜시간 기다려야 할 때가 많이 생깁니다. 로딩이 문제라는 것은 알겠는데 무엇을 어디부터 건들어야 할까요?

 

 예전 게임을 할때는 수시로 최적화 검색을 수백번도 넘게 한 것 같습니다만, 이제는 사회생활도 하고보니 찾아볼 시간도 없어 많이 건들어보지를 못했네요. 이번기회에 포스팅도하고 컴퓨터도 새롭게 점검해 봐야겠네요.

 

 

 윈도우 최적화 방법 1. 바탕화면에서 시각효과의 설정

 

 우선 부팅속도를 높이기 위해 바탕화면에서 몇가지를 건들어 보겠습니다. 그럼 내컴퓨터를 찾아주세요.

 

 찾으셨나요? 그렇다면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속성에 들어갑니다.

 

윈도우 최적화

 

 속성으로 들어가셨으면 고급 시스템 설정을 찾아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윈도우 최적화

 

위의 빨간박스의 고급 시스템 설정을 클릭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윈도우 최적화

 

 고급 시스템 설정에서 성능란이 보이실 겁니다. 이 성능은 바탕화면에 보여지는 시각적인 효과, 프로세서 일정, 메모리 사용 및 가상 메모리에 대한 내역을 설정토록 도와주는 기능을 합니다. 우리가 건들어야 할 것은 이 시각효과입니다. 성능을 추구하는 우리에게는 시각효과란 엄청난 낭비입니다.

 

최적화 방법

 

 성능의 설정을 클릭해서 들어와 봤더니 가관입니다. 모두 체크가 되어 있네요. 몇개만 뽑아서 읽어볼까요? 도구설명에 시각효과 사용  ㉡ 미끄러지듯 열리는 콤보 상자  등등 불필요한 요소들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애니메이션 효과 하나만 줄여도 컴퓨터에 가는 부담이 훨씬 줄어들 것 같네요. 자~ 그럼 건들어 볼까요?

 

윈도우 최적화

 

 저는 제가 필요한 딱 두가지만 선택했습니다.

 


 ㉠ 바탕 화면의 아이콘 레이블에 그림자 사용 (그림자가 없으니 글씨가 너무 얇아서 적용)

 ㉡ 창 및 단추에 시각 스타일 사용 (미적용시 Windows 98 버전으로 되돌아갑니다.)


 

 뭐 보이는 모습은 Window 상위버전이 보기 좋지요. 그래서 위 2가지면 충분하다고 생각하여 선택했습니다. 물론~ 극상의 성능을 원하는 분께서는 모두 해제하셔도 됩니다.

 자~ 그럼 윈도우 최적화 작업의 1차적인 설정을 끝마쳤구요. 2차 설정으로 넘어가겠습니다.

 

 링크타고 빠른 최적화 슝슝~

 

2015/02/16 - [IT/최적화 정보] - 윈도우 최적화 2편 - 가상 메모리의 설정

 

2015/02/16 - [IT/최적화 정보] - 윈도우 최적화 3편 - 시작프로그램 정리

 

2015/02/16 - [IT/최적화 정보] - 윈도우 최적화 4편 - 클리너로 간편하게 불필요 파일 정리

쥬마 IT/최적화 공유

Regedit 설정 - 게임 반응속도 올리기 (TcpNoDelay, TcpAckFrequency 설정)

2015. 2. 16. 20:46

웹서핑 및 게임 반응속도 올리기

 

 과거 웹서핑을 할때는 "이거 왜 이렇게 느리지?" "아 답답해" 등이 한국인의 반응이었습니다. 그 시절을 토대로 한국은 엄청난 IT강국으로써 광속의 인터넷을 얻었습니다. 하지만, 게임을 할때는 아직도 이 반응속도가 단 0.1초라도 빨라졌으면 하는게 게이머들의 공통적인 생각입니다.

 

 가끔 서든어택이나 FPS게임을 하는 사람들을 보면 "아 렉! XX"과 같은 험한 말들이 오고 가지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Regedit를 활용한 게임 반응속도를 올리는 방법입니다.

 

1. XP 또는 그 이전버전

 

XP 혹은 그 이전버전에서 시작->실행을 누르신 후 "Regedit"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는데요. 여기서 아래의 주소를 따라 찾아들어갑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MSMQ\Parametrs

 

 

 

다 찾으셨다면 여기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DWORD(32비트) 값을 새로 만듭니다. 그리고는 이름 바꾸기를 선택하고 TCPNoDelay (대소문자 주의하세요.) 라고 명명해줍니다. 다 만드셨다면 그 파일을 더블클릭하고 1이라는 값을 써서 확인을 누르세요.

 

 

 다 하셨으면 2번째 세팅으로 넘어갑니다. 밑의 주소를 타고 Interfaces를 찾습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Tcpip\Parameters\Interfaces

 

 다 찾으셨으면 그 안에 폴더가 여럿 존재할 겁니다. 여러 곳을 돌아다니면서 무선랜을 잡았던 컴퓨터라면 그 폴더의 수가 엄청나게 많을 것이고 저처럼 데스크탑이라면 몇개 안될 겁니다. 저는 딱 2개의 폴더가 있더군요.

 

< 이건 딱 하나의 기본값만 있으니 이건 아닌듯 하고 >

< 빙고~ 찾았습니다. 참 많은 파일들이 있네요. >

 

 여러분도 가장 많은 파일을 보유하고 있는 폴더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과거에 설정을 해 놓았기 때문에 이제 설정해야 할 파일들도 보이는군요.

 

 

 자.. 아까와 똑같이 새로만들기 DWORD(32비트) 값을 2개 만들어 주세요. 하나는 TcpAckFrequency라고 이름을 바꾸시고 다른 하나는 TcpDelAckTicks라고 이름을 붙여주시면 됩니다. 그리고는 TcpAckFrequency라는 값에는 1을 TcpDelAckTicks에는 0이라는 값을 넣어줍니다.

 

 그리고는 재부팅을 하시면 제대로 적용이 됩니다.

 

2. 윈도우 7 이상 또는 NT계열

 

윈도우 7이상 또는 NT계열은 이 반응속도 올리는 방법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 XP 또는 그 이하버전에서 적용하였던 절차 중 2번째 라인을 타고 들어갑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Tcpip\Parameters\Interfaces

 

 그리고는 TcpAckFrequency / TcpDelAckTicks / TCPNoDelay를 모두 생성하여 각각의 값을 1, 0, 1을 넣어주는 방법이구요.

 

㉡ XP 또는 그 이하의 버전을 그대로 적용하되 한가지 선택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제어판의 "프로그램 및 기능 항목"에 들어가서 "Windows 기능 사용/사용 안 함"을 클릭합니다. 아마 윈도우 7이상은 "Windows 기능 켜기/끄기"라고 되어 있을 겁니다. 여기서 다음과 같이 Microsoft Message Queue(MSMQ) Server이하 모든 항목을 체크 합니다.

 

 

 체크가 완료되셨으면 위에서 기술한 [XP 또는 그 이하버전의 설정]을 그대로 따라하신 후 재부팅~ 하시면 완료됩니다.

  

3. 적용 후

 

적용 후 느낀점은 솔직히 나쁜 점이 없습니다. 뭐 시중에 패스트핑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다운받아보면 각종 유해사이트나 광고가 수시로 뜹니다. 현재 진행하신게 똑같은 원리이기 때문에 굳이 인증받지도 못한 프로그램을 쓸바에야 조금 귀찮더라도 해당 과정을 밟아보시는게 나으실 겁니다.

 

 그리고 FPS나 기타 순간반응을 필요로 하는 게임의 경우 위 요소를 적용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플레이는 크게 차이를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한번쯤 적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윈도우 최적화 1편 - 윈도우 시각효과 없애기  http://testingblog123.tistory.com/25 

쥬마 IT/최적화 공유

전세계가 소통하는 블로그! 구글 번역기 달기

2015. 2. 16. 08:30

티스토리 블로그에 구글 번역기 달기

 

 대규모 포털인 네이버 블로그를 포기하고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대부분의 블로거들은 수익형 블로거가 되는 것이 목표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선행되어야 할 것이 첫번째는 유입량일 것이요. 두번째는 수익성 좋은 광고를 다는 것일 겁니다.

 

 그렇다면 이 첫번째 유입량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주구장창 네이버를 뚫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까요? 아니면 다른 외국 사이트를 겨냥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상위 블로거들을 보자면 한국 방문객이 100만이라 가정하였을 때 외국 방문객이 모두 합쳐 30만이 넘는 블로거들이 있습니다. 총 130만의 방문자가 되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이들은 어떻게 어떤 경로로 오게 되는 것이며 또한 글을 어떻게 읽을 수 있었을까요?

 

 

1. 로그 분석

 

 일부 상위 블로거들 중 유입로그를 공개하신 분이 몇분 계십니다. 그분들의 로그를 분석해 보자면 거의 90%이상이 google 해외 사이트를 통해서 유입이 됩니다. 즉, www.google.com이 아닌 www.google.co.jp처럼 각종 해외의 구글 사이트를 통해 유입되는 것이지요.

 

 해서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이 구글에 대한 최적화 작업이며 차선적으로 따라와야 할 것은 바로 "구글 번역기"를 내 블로그에 장착을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번역기를 달아 놓음으로써 우리는 한국에 앉아 해외 고객을 유치할 수 있습니다.

 

2. 구글 번역기 달기

 

 우선 구글 번역기를 달기에 앞서 생각해야 할 것이 비록 조그마한 자리를 차지하지만 어디에 달 것인가가 가장 중요합니다. 번역기가 필요는 하지만 문제는 기존에 이쁘게 꾸며놓은 블로그를 망치면 안되겠지요. 그렇기 때문에 우선 위치를 선정하고 아래 사이트로 이동해 주세요.

 

 번역기 신청 사이트  http://translate.google.com/manager/website/add 

 

 

 번역기를 다는게 매우 복잡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시도조차 하지 않으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알고보면 매우 간단한 절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한번 달아 보시지요.

 

Part. 1 웹사이트 정보 입력

 

 

위와 같이 자신의 블로그 정보를 입력하고 웹사이트 언어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Part 2. 플러그인 설정

 

 

 위와같이 언어를 모든언어로 할 것인지 특정언어만을 할 것인지 선택하고 표시방법을 선택합니다. 고급라인은 건드리실 필요가 없습니다.

 

Part 3. 플러그인 추가

 

 

메타태그와 html 소스를 얻었는데요. 이것을 들고 티스토리 html/css 소스를 넣는 곳으로 이동합니다.

 

Part 4. 소스 입력하기

 

 

 

  저는 기존에 있던 meta name 아래에 구글번역기를 넣었는데요. 보시면 "google-translate-customization"이 보이실 겁니다. 이게 구글번역기이고 meta는 이렇게 넣음으로써 해결되었습니다.

 

      

 

 html 소스는 태그입력기를 하나 끌어와서 사이드바에 넣구선 이름을 "구글번역기"라 명명하고 아래에 소스를 첨부하였습니다.

 

3. 결과물 확인

 

 아래와 같이 구글번역기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아직까진 큰 효과를 보진 못했으나 계속적으로 운영할 생각인지라 나중에는 큰 도움이 되리라 믿어봅니다.

 

 

쥬마 블로그/블로그 꾸미기